안녕하세요 공대남입니다. 파이썬 3에 들어가면서 가상환경을 따로 설치해주지 않아도 관리 할수있게 되었는데요. 그것에 대해 알아볼게요.
1. 가상환경 생성
python -m venv 가상환경이름
먼저 가상환경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위와 같이 가상환경 이름을 명시해주고 실행합니다. 가상환경이 잘 생성되었다면 루트 디렉토리에 해당 이름으로 폴더가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상환경 이름은 .venv로 정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가상환경 디렉토리 구성
생성된 가상환경 디렉토리(.venv)를 보면 Incldue, Lib, Scripts, pyvenv.cfg로 구성됩니다. 여기에서 Lib에 설치한 모듈이 저장됩니다.
2. 가상환경 활성화
1) Windows (cmd)
call 가상환경이름/Scripts/activate
2) Linux
source 가상환경이름/Scripts/activate
activate 하는 코드 위치가 Scripts가 아니라 bin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생성된 가상환경 폴더 구조를 잘 살펴보시고 상황에 따라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가상환경 터미널(cmd)로 기본설정해주세요:)
3. 가상환경 모듈 설치
예를 들어 requests 모듈을 설치한다면 pip install requests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4. 가상환경 비활성화
deactivate
가상환경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면 위의 명령어로 비활성화해줍니다. 해당 명령을 수행하면 가상환경을 빠져나와 일반 터미널로 돌아갑니다.
5. 가상환경 삭제
아나콘다를 사용하시던 분들은 가상환경 삭제 명령어를 찾지 못해 혼란스러워하시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가상환경을 삭제하고 싶다면 해당 폴더를 지우면 됩니다.
virtualenv도 venv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파이썬 가상환경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제가 여기에서 소개한 것은 venv를 사용한 방식이지만, 각자 필요한 기능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다른 가상환경도 비슷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으니 필요에 맞게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