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는 배열에 대해 알아볼게요.
배열. 하면 뭐가 떠오르나요??
네 바로 [ ]가 떠오르시는 분이 계실거 같은데요.
아래 에서 자세히 설명해볼게요.
배열할때는 말그대로 지하철 1호차 2호차 ... ... 이렇게 배열하는 것이죠.
그래서 배열하고자하는 크기에 맞춰 [ ] 안에 숫자를 써주는 셈이죠.
위의 예제를 보면 문자는 그대로 배열 하지 않아도 바로 써주어도 되지만, 문자열은 배열을 해주려면 꼭 1개의 공간을 남겨두어야 한답니다. 그래야 문자열이 끝났나는 것을 알 수있으니까요.
따라서 위에서는 7개의 공간을 만들어준것이죠!
또한 공간을 따로 숫자로 안써주고, 그냥 빈칸으로 써주어도 자동으로 7개의 공간이 생김을 알 수있어요!!
그리고 한글이 문자열일 경우는 크기가 다름을 아래를 통해 확인해볼 수있어요.
위에서 '나도코딩' 4글자 가 9개의 공간을 가지네요..
이유는 바로 한글은 1글자가 2byte를 차지하기 때문이죠. 그러면 8개의 공간이라고요? 아니죠. 문자열 끝을 표시해주는 '\0' 1개의 공간을 세어주어야 해요.
728x90
반응형
'C언어(C language) > C 함수 배열 포인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인터2(with array) (0) | 2018.09.07 |
---|---|
포인터1 (0) | 2018.09.07 |
아스키(ASCII) 코드 (0) | 2018.09.05 |
댓글